임금님이 먹는 보약이라 하여 주로 왕실에서 즐겨 복용이 되어 왔고 보하는 약재들 중에서도
가장 귀한 약제로 만들어진 보제 중에서도 명보제이다. 원래 사향과 최고급의 녹용상대, 산수유, 당귀 이 4가지의 약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 환자의 체질이나 상태에 따라서 약재를
추가하여 우황청심원 크기로 만들고 여기에 다시 금박을 입혀서 만든다. 아침에 기상시에, 밤에 잠 들기전 하루 두 번 복용을 하는데 한번에 1알씩 씹어먹게 된다. 몸이 많이 피곤하고 양기가 크게 쇠하여 여타의 보약들이 잘 받지 않을 때 쓸 수 있는 것으로 가지고 다니면서 씹어 먹을
수 있어 복용이 간편하고 장복을 할 수 있다.

方藥合編 : 稟賦虛弱但固天元一氣使水升火降百病不生
방약합편에 의하면 허약한 이에게 천원의 기(모든 기의 원천이 되는 진기)를 단단히 하여 상체로 오르기 쉬운 火를 내려주고 하복에 머물러 있기 쉬운 水 기운을 올려 수화의 흐름을 원활이 해 줌으로서 백병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고 하였다.

♣ 수승화강
신수가 올라가 심화를 내려주고 심화가 하강하여 찬 신수를 따듯하게 함으로서 다시 승하도록 한다. 한의학에서는 몸에 병이 없는 가장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승화강 이 잘 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이는 현대 의학적으로 5장6부, 자률신경계, 호르몬계, 면역기능, 대사기능 등의 비병리적 생리대사라고 이해하면 된다.

  약성은 溫無毒하고 맛은 辛하다. 주로 심장과 비장에 영향을 준다.
효능은 開竅醒神, 活血通經 消腫止痛 하여 위로는 머리, 아래로는 남근, 안으로는 골수, 바깥으로는 피부까지 막힘이 없이 뚫어주어 탁함이 없고 맑게만 한다.

  약성은 溫無毒하고 맛은 달고 짜다. 주로 간과 신장에 영향을 준다.
효능은 壯元陽, 補氣血, 益精髓, 强筋骨 하여 약해진 남자의 양기를
보강하며 기혈을 보하고 부족한 정충을 늘이고 뼈와 근육을 튼튼히
하여 보제중 상제이다.

  약성은 溫無毒 하고 맛은 달고 맵다. 주로 간, 심, 비장에 영향을 준다.
효능은 補血和血 調經 潤燥滑腸 하여 혈을 크게 보강하고 월경을 순조롭게 하며 5장과 6부, 피부를 건조하지 않게 윤택하게 한다.

  약성은 溫無毒하고 맛은 시다. 간과 신장에 영향을 준다.
효능은 補益肝腎 澁精固脫 하여 간과 신장을 보하고 정액을 보충하여
생식기능을 강화시킨다.
** 위의 4가지 약재 외에도 몇 가지의 약재가 추가적으로 들어갑니다.

♣ 공진단이 필요한 경우
1) 노화를 방지하고 질병을 예방하고자 하는 경우
2) 선천적으로 몸이 극히 허한 경우
3) 조루, 발기부전, 정충부족 등의 양기가 쇠한경우
4) 매일 과로와 술로 피로가 누적되었을때
5) 큰 수술 후 체력이 쉽게 회복이 되지 않을때
6) 꾸준한 공부와 스트레스로 약해진 수험생
7) 자궁을 들어내거나 폐경이 빨리 온 여성

♣ 공진단 복용법
1) 하루 1~2회 복용을 하는데 아침에 기상시, 밤에 잠들기전에 복용을 한다.
2) 천천히 씹어먹고 중간에 물이 아닌 침으로 삼키며 넘긴 후에는 물 반모금 정도 혹은 정종
반잔 정도는 괜찮다.
3) 술, 숙주, 녹두, 돼지고기등은 가급적 피해준다.
4) 방부제는 일절 들어가지 않으므로 냉장보관한다.
** 필요하신 분께서는 한의원으로 전화 주시기 바랍니다.